목록분류 전체보기 (184)
영국 척척석사 유학생 일기장👩🏻🎓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nbWa3/btstLOxdMMl/XdxLqFcDCGZBg37PdQz7l1/img.png)
1. randomimport random스탠다드 라이브러리에 있는 random 모듈은 랜덤한 숫자를 생성하기 위한 다양한 함수들을 제공해줍니다. 2. randint 함수randint 는 두 수 사이의 어떤 랜덤한 정수를 리턴하는 함수입니다.randint(a, b) 를 하면 a보다 크거나 같고 b보다 작거나 같은 어떤 랜덤한 정수 N을 리턴하는 것입니다.import randomprint(random.randint(1, 20))print(random.randint(1, 20))>>> 3>>> 17위와 같이 1이상, 20이하의 랜덤한 수가 출력됩니다. 3. uniform 함수uniform은 두 수 사이의 랜덤한 소수를 리턴하는 함수입니다.randint 와 다른 것은 리턴하는 값이 정수가 아니라 소수라는 점입니..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DZkXe/btstH2WRKj0/tRaL0DPetq3pLHC1SjzPU0/img.png)
지난 글에서 리스트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리스트와 문자열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리스트와 문자열은 굉장히 비슷합니다. 리스트가 어떤 자료형들의 나열이라면, 문자열은 문자들의 나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참고)파이썬 리스트🔻 (파이썬) 리스트와 리스트에서 유용한 메소드 총정리1. 리스트에서 값의 존재 확인하기어떤 값이 리스트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함수를 만들어보겠습니다.# value가 some_list의 요소인지 확인def in_list(some_list, value): i = 0 while i 위와 같이 실행하면life-of-nomad.tistory.com 1. 인덱싱(indexing)두 자료형은 공통적으로 인덱싱이 가능합니다.# 알파벳 리스트의 인덱싱alphabet..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Awrcg/btstzlJwy4s/5PbWcksbkPYTjfDyefHBtK/img.png)
🔻(참고)리스트🔻 (파이썬) 데이터 구조의 유형 중 가장 많이 쓰이는 리스트 총정리1. 데이터 구조데이터 구조란 다양한 방식으로 데이터 유형들을 모아 조직하고 그룹화하는 데이터 컨테니어 혹은 데이터 컬렉션입니다.데이터가 담긴 파일들을 정리해 놓은 파일 폴더라고 볼life-of-nomad.tistory.com 1. 메소드1) in 과 not in (리스트에서 값의 존재 확인하기)어떤 값이 리스트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함수를 만들어보겠습니다.# value가 some_list의 요소인지 확인def in_list(some_list, value): i = 0 while i 위와 같이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결과가 나옵니다.TrueFalse쓰는데 아주 어렵지는 않습니다.하지만 리스트에 값의 존재를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odxB2/btstvQXbVYu/WWAZX0Eoss2jFzeS6ZEKf1/img.png)
1. 캐스케이드(Cascade) 최종적으로 적용할 CSS 속성들을 결정할 때, 계단식 폭포처럼 CSS 규칙을 순서에 따라 합쳐서 적용하는걸 말합니다. 한국어로는 "종속"이라고 번역하기도 합니다. 우선순위가 높은 규칙일수록 우선적으로 속성을 적용합니다. 2. 스타일 시트의 종류 브라우저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스타일시트(Use Agent Stylesheet)는 똑같은 선택자를 쓰고 있다면 우리가 작성한 코드보다 우선순위가 낮습니다. 예를 들어서 브라우저 기본 CSS에서 아래처럼 쓰고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h2 { display: block; font-size : 1.5em; ... font-weight : bold; } 이때, 우리가 style.css 파일에서 아래처럼 쓰면, 우리가 작성한 스타일시트(A..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iakh8/btstvQ3XNFI/R8nmhhzmX5aBZeqcNghCi1/img.png)
1. 선택자 CSS 규칙에서 맨 앞에 적어 주는 걸 CSS 선택자라고 부릅니다. 선택자를 사용해서 이 규칙을 어떤 요소들에 적용할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 선택자 { 선언; 선언; 선언; } 2. 선택자 목록 콤마(,)로 선택자를 연결하면 여러 선택자에 같은 규칙을 적용할 수 있습ㄴ디ㅏ. 선택자1, 선택자2 { ... } 3. 선택자 붙여 쓰기 여러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는 요소를 선택하고 싶다면 선택자를 붙여서 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아래 HTML 코드에 있는 태그를 선택해 보겠습니다. 몽골 대자연으로 떠나는 여행 예시1. 아이디 + 클래스 #mongolia.title 예시2. 클래스 + 클래스 .large.title 예시3. 태그 + 아이디 + 클래스 h2#mongolia.large.title 4..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2fRH2/btstwieJvYm/ToFXcx8OE98nP152Hgke70/img.png)
1. 블록디스플레이에는 블록과 인라인이 있습니다. 그 중 블록(block)은 , , 같은 것들 입니다. 블록은 위에서부터 아래로 배치됩니다. 너비와 높이를 지정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2. 인라인인라인(inline)은 , , , 같은 것들 입니다. 평소에 글 쓰는 방향과 일치하며 화면에 꽉 차면 다음 줄로 넘어갑니다. 블록과 달리 너비와 높이를 지정할 수 없습니다. (태그는 예외) 그리고 여백은 가로로(글 쓰는 방향)만 가능합니다.3. 인라인 블록인라인처럼 배치되지만 블록처럼 크기를 가지고 싶을 때 사용하는 display 속성입니다.4. float요소를 페이지 왼쪽이나 오른쪽에 삽화처럼 배치하고, 그 주변으로 인라인 요소들을 배치할 수 있습니다.5. 블록, 인라인 블록, 인라인 비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Dhiot/btstHaTABir/ii1SwN5VKbdGafK5Pk6VOk/img.png)
1. 박스 모델(Box model) HTML/CSS에서 요소는 기본적으로 박스 형태입니다. 밖에서부터 차례대로 바깥 여백인 마진, 태두리인 보더, 테두리와 실제 내용 사이의 여백인 패딩, 그리고 실제 내용이 들어가는 콘텐트 박스가 있습니다. 2. border 속성 주로 굵기, 테두리 종류, 색상 순서로 씁니다. 예를 들어서 아래 코드는 2px 굵기의 실선으로 옅은 회색(#ededed)를 사용한 겁니다. border: 2px solid #ededed; 3. border-radius 속성 박스 모델의 모서리를 둥글게 만들 때 사용합니다. border 속성 없이도 쓸 수 있습니다. 아래 코드는 16px 만큼 둥글게 하는 코드입니다. border-radius: 16px; 참고로 50% 만큼 둥글게 하면 타원 형..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lHuN9/btstsZT42sL/PsNSSSwpt6FcihMzGM4qCK/img.png)
1. Padding 영역 안쪽에 여백을 넣을 때 사용합니다. 숫자의 순서는 시계 방향으로 0시 -> 3시 -> 6시 -> 9시 순서입니다. 패딩 값을 각각 주고 싶을 때 쓰는 속성들입니다. 상,우,하,좌 값을 따로 썼던 걸 속성으로 나눈 거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아래의 두 코드는 똑같은 코드입니다. padding: 16px 8px 24px 10px; padding-top: 16px; padding-right: 8px; padding-bottom: 24px; padding-left: 10px; 2. Margin 영역 바깥쪽 여백을 넣을 때 사용합니다. 특히 좌우, 바깥 여백의 경우에는 auto 라는 것을 사용해서 자동으로 채울 수 있었습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요소의 width 속성이 정해져 있어야 자동..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zaodI/btstHdbIrf3/kTdlplIJYkEZPGh1NrI3P0/img.png)
카드에 그림자를 넣고 카드 요소 일부분에 반투명하게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그림자 box-shadow 가로, 세로 위치, 흐린 정도(Blur), 퍼지는 정도(Spread), 색상의 순서로 씁니다. box-shadow: 5px 10px 15px 8px rgba(0, 0, 0, 0.6); /* 가로: 5px 세로: 10px 흐린 정도(Blur): 15px 퍼지는 정도(Spread): 8px 색상: rgba(0, 0, 0, 0.6) */ 참고로, 구글에서 box shadow generator라고 검색하면 여러 그림자를 만드는 속성을 볼 수 있습니다. 2. 불투명도 opacity 요소 전체의 불투명도를 조절할 때 사용합니다. 0에서 1 사이의 소수 값으로 단위 없이 쓰면 됩니다. opacity..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Vvgi4/btstx7KoErm/vkdgkj61i6IzRNLMWP30fk/img.png)
오늘은 배경이미지를 넣는 CSS 속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배경이미지 넣기 backgroun-image 1) 배경이미지 배경이미지를 넣는 CSS코드는 background-image 입니다. url(...)이라는 문법으로 배경이미지를 넣습니다. backgound-image: url('flowers.png') 배경이미지는 여러 개 넣을 수 있습니다. 아래처럼 이미지를 배경으로 넣으면 a.png 아래에 b.png 가 깔리고, 맨 밑에는 c.png 가 깔립니다. background-image: url('a.png'), /* 제일 위에 보이는 이미지 */ url('b.png'), url('c.png'); 2) 배경의 위치 background-position 기본값은 left top(왼쪽 위)이고, 가운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