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CSS
- 결정트리
- 코딩
- for반복문
- 머신러닝
- 다항회귀
- 유학생
- 선형회귀
- 코드잇
- 판다스
- HTML
- 코딩공부
- matplotlib
- 코드잇TIL
- 파이썬
- 데이터분석
- 나혼자코딩
- Seaborn
- 코드잇 TIL
- SQL
- 경사하강법
- 로지스틱회귀
- sql연습문제
- 코딩독학
- 행렬
- numpy
- 영국석사
- 런던
- 윈도우함수
- 오늘도코드잇
- Today
- Total
목록역행렬 (2)
영국 척척석사 유학생 일기장👩🏻🎓
1. 전치행렬 먼저, 행렬 A를 정의해 줍니다. A를 구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A의 전치행렬(transpose)를 구해보겠습니다. 더 간단한 방법은 .T를 쓰는 것입니다. 2. 단위행렬 단위행렬은 identity로 나타냅니다. 괄호 안에는 몇행몇열을 만들고 싶은지 쓰면 됩니다. 단위행렬의 특징은 어떠한 행렬과 곱하더라도 자기자신이 나온다는 것입니다. 3. 역행렬 역행렬은 Inverse로 나타냅니다. inv앞에 p를 붙이면 역행렬이 없더라도 가장 비슷한 값을 찾아줍니다. 이렇게 찾은 행렬이 실제 역행렬이 맞는지 확인하려면 역행렬의 성질을 이용해서 두 행렬을 곱했을 때 단위행렬이 나오면 됩니다. 확인해보니 100% 값이 맞아떨어지지는 않습니다.
1. 전치 행렬 A라는 행렬이 위와 같다고 가정해 봅시다. 이 A라는 행렬의 열과 행을 바꿔 봅시다. 이렇게 바꾼게 '전치 행렬' 이라는 것입니다. A의 전치, 즉 A의 transpose라는 의미에서 A위에 작은 T를 써서 표기합니다. 기존에 첫 번째 행이였던 게 첫 번째 열이 되고, 두 번째 행이였던 게 두 번째 열이 되었습니다. 마찬가지로 첫 번째 열이였던 게 첫 번째 행이 되고 두 번째 열은 두 번째 행이 되고, 세 번째 열은 세 번째 행이 되었습니다. 전치 행렬을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행렬과 행렬을 곱할 때, 왼쪽 행렬의 열 수와 오른쪽 행렬의 행 수가 맞아떨어져야 합니다. 이런 식으로 행렬을 계산할 때 모양을 맞춰야 할 때가 있는데, 기존 행렬에서 모양이 맞지 않으면 전치 행렬을 이용해서..